가스라이팅, 당하는 사람은 모른다
최근 들어, '가스라이팅'이란 용어가 미디어를 통해 많이 오르내리고 있다. 가스라이팅은 타인을 자신의 뜻대로 움직이게 하기 위해 상대의 심리를 조작하는 일종의 언어폭력이다. 약자를 대상으로 한 심리적 지배는 오래 전부터 있어왔지만 '가스라이팅'으로 명확하게 정의내리고 용어가 널리 쓰이게 된 것은 비교적 최근이다. 우리나라에서는 언론을 떠들썩하게 했던 범죄사건에 자주 언급되면서 가스라이팅의 개념이 정립되기 시작한 것 같다.
가스라이팅이란?
타인의 심리나 상황을 교묘하게 조작해 그 사람이 스스로를 의심하게 만듦으로써 타인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는 행위
by 네이버 지식백과
이런 사례들이 있다.
- 유럽이 아프리카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고 흑인노예를 정신적으로 종속시키기 위해 '흑인은 백인보다 열등하다(근거 없음)'는 연구결과를 퍼뜨린 사례
- 여성의 사회적 참여를 억압하고 남성이 여성을 쉽게 지배하기 위한 목적으로 탈레반이 여성들에게 온 몸을 가리는 '부르카'를 필수 착용하도록 강제한 것
이 외에도 가스라이팅은 우리 주변에서 일상적이고 교묘하게 이루어지고 있다. 당하는 사람은 그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. 가해자는 주로 가깝게 지내는 가족, 연인, 친구다.
- (연인 사이에서) "우리 아들 낳으면 키는 나 닮고 머리는 너 닮았으면 좋겠다. 남자는 키 작으면 안 되잖아" => 상대방의 신체조건을 비하 하려는 의도
- (친구 사이에서) "너 성형한 거 남자친구한테도 말했어? 그거 말 안 하면 나중에 결혼해서 큰 일 나는 거 아냐? 난 그냥 너 걱정돼서..." => 상대방의 약점을 이용해 깎아내리려는 의도
- (부모가 아이에게) "넌 왜 그렇게 애가 유별나니? 어른이 하라고 하면 그냥 네~ 하고 따르는 거야!" => 자식을 자신의 통제 하에 두기 위해 스스로 결정할 기회를 박탈하는 것
나를 사랑한다고 믿어 의심치 않는 이들이기에, 처음에는 자신이 가스라이팅 당하고 있다는 사실을 인정하기 어렵다. 다음은 가스라이팅 하는 사람이 주로 하는 말이다. 피해자가 이 글을 보고 있다면, 조금이나마 빠르게 좋지 않은 관계를 끊어내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.
1. "이해가 안 되네", "왜 그렇게 생각하지?"
이해가 안 된다는 이유로 상대방의 다른 생각을 인정하지 않으려는 말이다. 이런 사람은 아무리 논리적으로 설명해도 끝까지 이해되지 않는다며 자기주장을 굽히지 않는다.
2. "니가 예민한 거야", "너 좀 특이하다"
"넌 틀렸어"라는 뜻이다. 자신의 생각이 일반적이니 니가 받아들여야 한다는 의도다.
3. "그건 무조건 이거야", "당연히 이렇게 행동해야지"
정치, 종교, 가치관, 패션, 자기계발 방식, 인간관계 등의 주제는 사람에 따라 의견이 얼마든지 다를 수 있다. 자기중심적인 사람은 다름을 인정하지 않고 자신의 확고한 신념이 정답이라고 주입시킨다.
4. "나니까 니 성격 받아주지", "누가 이런 널 이해해주겠니?"
상대방의 인격을 깎아내리며 자신에게 더욱 의존하게 하려는 의도의 말이다.
이러한 가스라이팅에 익숙해진 피해자는 "이렇게 생각하는 게 맞나?", "내가 틀린 건가?"라며 스스로를 의심하게 된다. 결국 많은 상황에서 가해자가 의도한대로 끌려간다.
한 전문가는 가스라이팅을 당하면 단호하게 "그건 가스라이팅이니까 하지마!"라고 말해야 한다고 한다. 내 생각은 조금 다르다. 쉽게 직설적으로 말할 수 있는 관계였다면 처음부터 가스라이팅은 당하지 않았을 것 같다. 그만큼 자기주장이 강한 상대고,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동안 피해자가 가스라이팅을 당하지 않았을까.
일단 가해자와 거리를 두라고 말해주고 싶다. 물론 쉽지 않을 거다. 가족, 친구, 연인 등 끊어내기 어려운 관계겠지만 연락을 줄이든지 생활공간을 분리하든지 물리적으로 거리를 두고 일정기간 스스로 마음을 치유하는 시간을 갖길 바란다. 상대의 잘못을 꼬집는 것은 그 이후에 해도 늦지 않는다. 나를 깎아내리려는 쓰레기 같은 말들에 상처 받고 자신을 평가절하 하지 말자. 당신의 가치는 타인에 의해 결정되지 않으며 당신이 생각하는 것 이상으로 당신은 소중한 사람이다. 당신의 가치를 알아봐주고 아껴주는 사람은 분명 있다.
'연애자존감에 대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짧은 연애만 반복하는 사람들의 특징 (0) | 2021.08.19 |
---|---|
연애를 망치는 7가지 태도 (0) | 2021.08.17 |
이성의 조건을 보는 게 나쁜 걸까? (0) | 2021.08.17 |